생활정보2013. 2. 23. 09:00





신학기 착한 학용품 구매 가이드로 소중한 아이 건강 지키세요!


 오르다의 생활정보 -



2013년 새학기를 맞아 학용품 구매 예정이신 분 계시나요?

인형,학용품,어린이용 화장품,장난감 등등을 사용할 때 알레르기,아토피를 앓는 자녀가 있으시다면

꼭 ~ 꼭 아래 가이드를 확인하고 구입하러가시길 바랍니다!





"내 아이 건강을 위해 한 번 더 생각하세요!"


- 이 글에 사용된 이미지와 내용은 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에서 발췌하였습니다. -


아이들이 가는 문방구에 가보면 생각보다 유해물질이 많은 문구제품이 많은데요.

그럴 때 이용 가능한 <착한 학용품 구매가이드>를 참고하시고 아이와 함께 고르신다면 

우리 아이 건강도 지키고 착한 학용품을 구입할 수 있답니다. 특히 질 낮고 저렴한 제품들은 유의하세요. 

 




<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> 행정안전부와 교육과학기술부, 보건복지부가 함께 만든 가이드입니다. 

아이들이 늘 사용하는 제품에 우리가 눈으로는 알지 못하는 유해화학물질을 알려준답니다.


아이들 책가방

     가급적 반짝이는 재질의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. 

        - 반짝이는 재질의 표면에는 프탈레이트가 함유될 가능서이 높다.


    ● 가급적 화려한 색깔의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.

        - 안료(페인트)중 중금속이 함유될 가능성이 있다.


    ● 피부 표면에 직접 닿는 쪽 (어깨끈, 뒷면)은 가급적 코팅이 되지 않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.

        - 피부에 직접 닿는 쪽에 코팅이 되면 체온상승시 땀으로 인한 유해물질이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.


    ● 제품에 대한 정보 확인이 어려운 것은 구매하지 않는 것이 좋다.

        - 가능한 KC마크가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.




이 가이드안에는 학생들이 항상 사용하는 아이들의 책가방과 공책, 지우개, 필통, 클립, 파일 등 을 

안전하게 구입할 수 있는 요령을 알려주고 있습니다.


- 이 글에 사용된 이미지와 내용은 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에서 발췌하였습니다. -





여자 아이들이 좋아하는 화려한 색상에 사용된 안료에는 납, 카드뮴, 크롬 등 중금속 물질이 들어있을 수 있습니다.


유해물질?

    납(Pb) - 어린이들에게는 주의력 결핍 가잉행동장애(ADHD), 뇌신경계 영향 등의 건강상의 문제제기 야기.


    카드뮴(Cd) - 위자극, 메스꺼움, 구토, 설사, 오한, 두통, 발열 증상이 나타남.


    니켈(Ni) - 호흡 기도 자극, 피부자극, 알레르기 반응 유발.


    비소(As) - 인후염, 호흡곤란, 소화기관 장애, 메스꺼움, 구토, 설사 유발.


 노트는 속 내지가 일반 제품보다 더 하얀 종이는 형광증백제, 표백제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

지우개의 경우 너무 말랑거리는 제품에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함유될 가능성이 높으며

 향기나는 제품은 독성물질이 들어갈 가능성이 있으니 피하는 게 좋습니다.

 또한 반짝이 재질의 책가방과 필통은 중금속과 프탈레이트가 들어있을 수 있어요.


프탈레이트란? (Phthalates)

    프탈레이트 (Phthalates)는 프탈산(phthalic acid)의 에스테르(esters) 물질인데요. 플라스틱에 첨가하면 유연성, 투명도, 

    견고성을 증가시키도록 사용하게 되는 물질입니다. 학용품, 장난감, 어린이용품, 식품포장재, 우의, 샤워커튼, 페인트, 

    유화제, 세제 등 제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. 프탈레이트와 플라스틱 사이에는 화학적 결합이 일어나지 않습니다.

    그 때문에 프탈레이트는 사용 환경 중 이동될 수 있습니다. 

    그로인해 호르몬이상, 불임, 암, ADHD(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),선천성기형, 천식, 생식계 장애  등 치명적인 부작용을 

   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진 물질입니다.




<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> 아이들을 위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에서 다운로드하세요.  


착한_학용품_구매_가이드.pdf


또는 <어린이 환경과 건강 포털 = 케미스토리> 에서 더 많은 정보과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케미스토리  사이트 방문  >> [바로가기]